가설건축물의 보상가능여부와 사업시행자가 관리청인 경우 달라지는 점은? >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고객센터고객만족 실천 책임 경영, 사회공헌 정당보상 실현, 윤리 경영

자료실

자료실

질의회신 | 가설건축물의 보상가능여부와 사업시행자가 관리청인 경우 달라지는 점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11-19 13:36 조회0회 댓글0건
  • 첨부파일 664. 가설건축물의 보상가능여부와 사업시행자가 관리청인 경우 달라지는 점은.pdf (47.7K) 0회 다운로드 DATE : 2025-11-19 13:36:35    다운받기 바로보기

본문

가설건축물의 보상가능여부와 사업시행자가 관리청인 경우 달라지는 점은?

 

 

1

 

질의

 

도시계획사업구역 내 가설건축물이 건물보상영업 보상대상인지 여부와 사업시행자가 비관리청인 경우 가설건축물의 보상범위 및 대상이 달라질 수 있는지 여부

 

 

2

 

회신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토지보상법)」75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면 건축물 입목 공작물 기타 토지에 정착한 물건에 대하여는 이전에 필요한 비용으로 보상하여야 한다고 되어 있으므로 건축물 및 시설을 보상하는 경우에는 같은법 시행규칙 제33조 및 제36조의 규정에 의하여 보상하여야 한다고 보나관계 법령에서 보상에 관하여 제한을 둔 경우 또는 관계법령에 위반되어 이전 철거 등의 조치가 진행되고 있는 등의 경우에는 당해 공익사업의 시행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보상대상에 해당되지 아니한다고 보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법률64조제3항의 규정에 의하면 특별시장 광역시장 시장 또는 군수는 제2항제1호 또는 제2호의 규정에 의하여 가설건축물의 건축이나 공작물의 설치를 허가한 토지 안에서 도시계획시설사업이 시행되는 때에는 그 시행예정일 3월 전까지 가설건축물 또는 공작물을 소유자의 부담으로 당해 가설건축물 또는 공작물의 철거 등 원상회복에 필요한 조치를 명하도록 되어 있고

가설건축물이 위 규정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당해 가설건축물의 소유자는 자기의 부담으로 철거 등을 하여야 하는 의무가 있으므로 이 경우 가설건축물은 보상대상이 아니라고보며관계법령에 의한 허가 등을 받지 않았거나 무허가 건물에서 영업을 행한 경우에는 보상대상에 해당되지 아니한다고 보나당해 영업이 위 규정에 의한 보상대상에 해당 되는지 여부 등에 대하여는 위 규정과 관계 법령에 따라 사업시행자가 사실관계를 조사하여 판단 결정할 사항이라고 보며 유사판례대법원 2001.8.24 선고20017209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08.2.13. 토지정책팀-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