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작을 위한 토지의 형질변경’의 의미 > 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고객센터고객만족 실천 책임 경영, 사회공헌 정당보상 실현, 윤리 경영

자료실

자료실

판례 | ‘경작을 위한 토지의 형질변경’의 의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05-26 16:11 조회57회 댓글0건
  • 첨부파일 140. ‘경작을 위한 토지의 형질변경’의 의미.pdf (34.0K) 0회 다운로드 DATE : 2025-05-26 16:11:09    다운받기 바로보기

본문

경작을 위한 토지의 형질변경의 의미

 

[대법원 2008. 05. 08. 선고 20074598]

 

판결요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56조제1항제2, 같은 법 시행령 제51조제3호에서는 토지의 형질 변경, 즉 절토·성토·정지·포장 등의 방법으로 토지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공유수면을 매립하는 경우 관할관 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면서, 다만 경작을 위한 토지의 형질변경의 경우에는 예외를 두고 있다. 여기서 경작을 위한 토지의 형질변경이란 이미 조성이 완료된 농지에서의 농작물재배행위나 그농지의 지력증진을 위한 단순한 객토나 소규모의 정지작업 등 농지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농지의 형질을 변경하는 경우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토지 소유자 등이 당해 토지를 경작하려는 의도에서 토지를 성토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이 그 토지의 근본적인 기능을 변경 또는 훼손할 정도에 이르는 것일 때에는 관할관청으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한다.

경작을 목적으로 약 11,166면적의 유지를 1m 정도의 높이로 매립·성토하여 농지로 조성한 행위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및 그 시행령상 허가 없이 시행할 수 있는 행위인 경작을 위한 토지의 형질변경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한 사례